이병문 tbnews@hanmail.net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1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별관 인근에서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노조가 서울시와 사측이 통상임금 문제를 거론하며 교섭을 파행으로 몰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서울시버스노조는 14일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앞에서 노조 지부 대표자 100여명이 모여 '단체교섭 승리!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를 열었다.
노조는 “물가인상률 등을 감안해 8.2%의 임금인상안을 요구했다”며 “교섭 시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달라고 요구한 적이 없고 안건으로 논의한 적도 없는데 뜬금없이 시가 통상임금을 말하며 노조가 25% 인상을 요구하는 파렴치한 집단으로 언론플레이를 해 시민과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토록 기존 판례를 변경하고, 버스 노동자들이 제기한 통상임금 재판이 진행 중인 만큼 해당 문제는 교섭과 별개로 추후 논의하자는 게 노조의 입장이다. 반면, 사측과 서울시는 임금체계부터 개편해 임금상승률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박점곤 서울시버스노조 위원장은 "법에 명시된 조합원들의 권리는 서울시도 사용자도 침해할 수 없다"며 "조합원 권리를 포기하는 임금체계 개편에는 절대 합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유재호 노조 사무부처장은 "사측은 합리적인 요구안을 내놓지 않고 단체협약에서 상여금 규정을 삭제하거나 통상임금이 안 되게 개정하지 않으면 교섭 테이블 자체에 앉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울시와 사측은 상여금이 통상임금으로 인정됐다고 해놓고 현재 진행 중인 통상임금 소송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율배반적 주장을 하고 있다"며 "상여금이 통상임금이 아니라는 해석에 노조가 합의했다는 동의를 구해 소송에서 이기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노사는 지난달 29일 정식교섭 결렬 후 실무 차원에서 물밑 접촉 중이나 진전이 없는 상태다. 노조는 사측과 물밑 교섭을 이어가는 한편 오는 26일 송파구 서울시교통회관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 예정이다.
노조의 상급기관인 자동차노련은 22개 지역별 산하 노조가 지난 12일 동시에 임단협 관련 조정 신청을 하고,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