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Join
Update
2025.07.02
(수)
전체기사
종합
여객운송
버스
택시
렌터카
화물운송
자동차
완성차
부품용품
정비
매매폐차
도로운전
도로운전
안전
보험공제
보험
공제
에너지환경
관광
전체기사
모빌리티
모빌리티
홈
자동차
10년~20년 된 차량 무상으로 복원해준다
현대자동차가 노후 차량의 손상된 부분을 무상으로 원래대로 고쳐주는 ‘H-리스토어(Restore)’ 캠페인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18일 현대차에 따르면 이번 캠...
2018-09-18
첨단 자동차 시대 개막…검사방식도 바뀌어야
첨단 자동차 시대가 열리면서 자동차 검사 방식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7일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2018 자동차검...
2018-09-09
정비업소 대기오염물질 무단배출 적발 사례
자동차 도장 과정서 발생한 대기 유해 물질을 무단 배출한 자동차 정비공장이 무더기 적발됐다.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달 21일부터 28일까지 도심지...
2018-09-06
만트럭, TGS 덤프트럭 4종 1191대 리콜
국토교통부는 만트럭버스코리아의 TGS 덤프트럭 4종 1191대에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 조처한다고 4일 밝혔다. 리콜 차종과 대상은 ▲TGS 37.480 8X4 BB 802대 ▲TG...
2018-09-05
현대·기아차, ‘노후차량 고객안심 무상 점검 서비스’
현대·기아차는 노후 차량 보유 고객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출고 후 8년이 경과한 승용·RV·소형상용 전 차량을 대상으로 20일부터 11월말까지 3개월간 ‘노후차...
2018-08-20
정비사업조합의 업체 등급산정은 공정거래법상 허용 범위
국토교통부가 지난 6월말 적정 정비요금을 공표한 뒤 정비업체와 보험사 간 계약 진행을 위해 시·도 사업조합이 업체의 등급수준을 확인해주는 것은 공정거...
2018-08-20
‘나쁜’ BMW…‘이상한’ 정부…‘착한’ 국민
BMW는 한 마디로 나쁘다. BMW 차량에 화재 경보음이 처음 울린 건 지난 2015년 11월이다. 그리고 작년 말부터 동일한 차량에서 화재가 지속 발생하는 등 이상 징후...
2018-08-15
현대차, ‘트럭&버스 아카데미’ 산학협력 양해각서 체결
현대자동차는 지난 9일 충남 천안 글로벌 러닝센터에서 6개 국내 정비교육기관과 ‘현대 트럭&버스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
2018-08-12
보험 정비요금 계약…업체 9등급 분류
손보사와 개별 정비업체간 보험 정비요금 협상이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이달 중 웬만한 업체들은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6일 전국자동차검...
2018-08-06
BMW 불! 불! 불!…정부는 불구경만
BMW 차량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불구경만 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BMW는 올해 5월까지 BMW 차량 16대에서 화재가 발...
2018-08-03
신차 동일 하자 반복 시 교환·환불 가능
신차를 구입한 경우 중대하자가 발생하면 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 자동차관리법이 내년부터 시행된다. 일명 ‘레...
2018-08-01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맨끝
확대이미지 영역
서울시, 자율주행 마을버스 동작구서 첫 운행
스쿨존 30㎞ 24시간 속도제한 이대로 괜찮나
서울 시내버스 임금협상 표류 장기화되나
많이 본 뉴스
1
너무 이상한 카카오 가맹택시 수수료…이대로 좋은가?
2
똑같은 택시인데…전기택시는 왜 유가보조금 못 받나요?
3
‘택시요금 인상 후’를 보도하는 일부 언론의 무지
4
현대차 ‘쏘나타 택시’ 단종…택시업계 ”배신감 느껴“
5
개인택시 면허가격 얼마나 오를까?
6
DRT 확대에 택시업계 ‘속 탄다’
7
개인택시 부제 해제에 법인택시 멍든다
8
[단독] 4년 전 입법된 ‘카풀 서비스’ 다시 살펴본다?
9
택시요금 인상 후 개인택시 대당 수입 4.9% 증가
10
이랬다저랬다 ‘택시부제’…다시 관할관청이 결정토록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서울시, 자율주행 마을버스 동작구서 첫 운행
서울시는 자율주행 마을버스인 '지역동행 자율주행버스'를 최초로 동작구에 도입, 30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동작구 지역동행 자율주행버스(동작 A01)는 숭실대 중문에서 숭실대입구역을 거쳐 중앙대 후문까지 편도 1.62㎞ 구간을 오간다. 전기 자율주행버스 2대가 양방향 총 8개의 정류소에 정차해 승객들을 실어 나른다. 운행시간은 ...
스쿨존 30㎞ 24시간 속도제한 이대로 괜찮나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시속 30km 운행속도 제한을 심야 시간에는 완화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30km/h 속도제한은 주로 스쿨존에 적용된다. 도로교통법(12조 1항)에 따라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어린이 보호를 위해 도로 일부를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자동차 통행속도를 시속 30㎞ 이내로 제한한다. 문제...
서울 시내버스 임금협상 표류 장기화되나
부산, 울산, 창원, 광주 등 지방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 협상은 속속 타결됐지만, 서울시 버스 노사협상은 장기 교착 상태에 빠졌다. 정기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결 여파 때문인데, 서울 버스의 경우 정기상여금 비중이 타 지역보다 커 사실상 임금인상분을 부담해야 하는 서울시가 전면 수용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27일 관...
포토뉴스
더보기
서울시, 자율주행 마을버스 동작구서 첫 운행
서울시는 자율주행 마을버스인 '지역동행 자율주행버스'를 최초로 동작구에 도입, 30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동작구 지역동행 자율주행버스(동작 A01)는 숭실대 중문에서 숭실대입구역을 거쳐 중앙대 후문까지 편도 1.62㎞ 구간을 오간다. 전기 자율주행버스 2대가 양방향 총 8개의 정류소에 정차해 승객들을 실어 나른다. 운행시간은 ...
스쿨존 30㎞ 24시간 속도제한 이대로 괜찮나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시속 30km 운행속도 제한을 심야 시간에는 완화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30km/h 속도제한은 주로 스쿨존에 적용된다. 도로교통법(12조 1항)에 따라 교통사고 위험으로부터 어린이 보호를 위해 도로 일부를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자동차 통행속도를 시속 30㎞ 이내로 제한한다. 문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