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자동차검사를 받은 차량 중 21.5%가 안전상 문제 등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총 1288만8000대의 차량이 자동차검사를 받았으며, 이 가운데 1011만4000대(78.5%)는 적합, 나머지 277만3000대(21.5%)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검사를 받은 자동차 5대당 1대꼴로 부적합 사항이 발견된 셈이다.
교통안전공단이 직접 검사한 자동차는 276만8000대(21.5%), 민간 자동차 검사소가 검사한 자동차는 1012만대(78.5%)로 민간 자동차 검사소가 3.7배 정도 더 많았다.
공단에서 시행한 자동차검사 가운데 부적합 판정이 내려진 사례는 65만3000대(23.59%)로 집계됐다. 부적합률은 대체로 차령이 높고, 주행거리가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령이 14년 이상일 때 39.18%로 가장 높았고, 12∼13년 사이일 때 37.8%로 뒤를 이었다. 주행거리로 보면 20만㎞ 이상에서 41.29%로 부적합률이 가장 높았고, 1만∼2만㎞ 구간에서 5.78%로 가장 낮았다.
공단은 지난해 이뤄진 전체 자동차검사의 경제적 편익을 산출한 결과 연간 교통사고 4만건을 예방하고, 일산화탄소 1만t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자동차검사의 비용 대비 편익(B/C)은 1.8로, 교통사고 예방 및 환경개선 효과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면 2조19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